본문 바로가기
화학탐험/문제풀이&오답노트

화학 산과 염기, 이제 두려워 마세요! 문제 풀이와 오답 포인트

by 과학박사 2025. 3. 18.

산과 염기, 화학반응의 뜨거운 감자! 우리 주변의 다양한 화학 현상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산과 염기. 하지만 pH 계산, 강산/약산 구분, 중화 반응 등 복잡한 개념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어려움을 느낍니다. 산과 염기 문제, 이제 마지막 결전을 통해 완벽하게 끝내버립시다! 학생들이 가장 많이 틀리는 대표 문제 유형 3가지, 그리고 오답률을 높이는 치명적인 함정들을 전문적이고 명확하고 간결하게 분석하여, 여러분을 산과 염기 Master로 만들어 드립니다. 자, pH의 비밀을 풀고 중화 반응을 완벽하게 이해해 볼까요?

 

산과 염기 문제 풀이와 오답 포인트

산과 염기 문제 풀이와 오답 포인트
산과 염기 문제 풀이와 오답 포인트

 

개념 정리가 필요하시면 참고해보세요.

 

 

산과 염기의 실생활 활용: 청소, 의약품, 식품 제조의 비밀

산과 염기는 화학에서 물질의 성질을 분류하는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이들은 다양한 화학 반응의 주체이며, 생활 속에서도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산과 염기의

science-gallery-park.tistory.com

 

 

1. 강산/약산, 강염기/약염기 구분, 농도 vs 세기 혼동!

 

산과 염기 문제의 기본은 주어진 물질이 강산인지 약산인지, 강염기인지 약염기인지 정확하게 구분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많은 학생들이 농도와 세기를 혼동하거나, 주요 강산과 강염기를 암기하지 못하여 오답을 선택합니다.

 

 
 

문제 1

다음 물질들을 강산, 약산, 강염기, 약염기로 옳게 분류한 것은?

 

물질 분류
(가) HCl (A) 강산
(나) CH₃COOH (B) 약산
(다) NaOH (C) 강염기
(라) NH₃ (D) 약염기
(마) H₂SO₄ (A) 강산
(바) KOH (C) 강염기

(1) (가)-(A), (나)-(B), (다)-(C), (라)-(D), (마)-(B), (바)-(C)

 

(2) (가)-(A), (나)-(B), (다)-(C), (라)-(D), (마)-(A), (바)-(D)

 

(3) (가)-(A), (나)-(B), (다)-(C), (라)-(D), (마)-(A), (바)-(C)

 

(4) (가)-(B), (나)-(A), (다)-(D), (라)-(C), (마)-(A), (바)-(C)

 

(5) (가)-(A), (나)-(D), (다)-(C), (라)-(B), (마)-(A), (바)-(C)

 

 

해설

 

강산은 수용액에서 거의 100% 이온화되어 H⁺ 이온을 내놓는 산이며, 약산은 일부만 이온화됩니다. 강염기는 수용액에서 거의 100% 이온화되어 OH⁻ 이온을 내놓는 염기이며, 약염기는 일부만 이온화됩니다.

 

1. 강산: HCl (염산), H₂SO₄ (황산), HNO₃ (질산), HBr (브롬화수소산), HI (아이오딘화수소산), HClO₄ (과염소산)

 

2. 약산: CH₃COOH (아세트산), H₂CO₃ (탄산), HF (플루오린화수소산) 등

 

3. 강염기: NaOH (수산화나트륨), KOH (수산화칼륨), Ca(OH)₂ (수산화칼슘), Ba(OH)₂ (수산화바륨) 등 (주로 1족, 2족 금속의 수산화물)

 

4. 약염기: NH₃ (암모니아), 아민류 등

 

정답: (3) (가)-(A), (나)-(B), (다)-(C), (라)-(D), (마)-(A), (바)-(C)

 
반응형
오답 포인트

1. 농도와 세기 혼동: 진한 농도의 약산을 강산으로, 묽은 농도의 강산을 약산으로 잘못 판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산/염기의 세기는 용액의 농도와는 별개로, 이온화되는 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2. 주요 강산/강염기 암기 부족: 자주 등장하는 강산(HCl, H₂SO₄, HNO₃ 등)과 강염기(NaOH, KOH 등)를 암기하지 못하여 분류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습니다. 주요 강산과 강염기는 반드시 암기해야 합니다.

 

3. 유기산/염기를 무조건 강산/강염기로 생각하는 오류: 유기산(예: 아세트산)은 대부분 약산이며, 유기 염기(예: 아민)는 대부분 약염기입니다. 무기산/염기와 유기산/염기의 세기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2. 약산의 pH 계산, 근사 조건 활용 및 Ka 이해 부족!

 

약산의 pH를 계산하는 문제는 평형 개념과 Ka(산 해리 상수) 값을 활용해야 하므로, 강산처럼 완전 이온화된다고 가정하거나, 근사 조건을 잘못 적용하여 오답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 2

0.10 M 아세트산(CH₃COOH) 수용액의 pH를 계산하시오. (단, 아세트산의 Ka = 1.8 × 10⁻⁵이다.)

 

(1) 1 (2) 2 (3) 2.87 (4) 5 (5) 7

 

 

해설

 

약산은 일부만 이온화되므로 평형을 고려하여 pH를 계산해야 합니다.

 

CH₃COOH(aq) ⇌ H⁺(aq) + CH₃COO⁻(aq)

 

Ka = [H⁺][CH₃COO⁻] / [CH₃COOH] = 1.8 × 10⁻⁵

 

1. 초기 농도: [CH₃COOH] = 0.10 M, [H⁺] = 0, [CH₃COO⁻] = 0

 

2. 평형 시 농도 변화량: [CH₃COOH] = -x, [H⁺] = +x, [CH₃COO⁻] = +x

 

3. 평형 시 농도: [CH₃COOH] = 0.10 - x, [H⁺] = x, [CH₃COO⁻] = x

 

Ka = x² / (0.10 - x) = 1.8 × 10⁻⁵

 

여기서 Ka 값이 매우 작으므로 0.10 - x ≈ 0.10으로 근사할 수 있습니다.

 

x² / 0.10 = 1.8 × 10⁻⁵

 

x² = 1.8 × 10⁻⁶

 

x = √(1.8 × 10⁻⁶) = 1.34 × 10⁻³ M = [H⁺]

 

pH = -log [H⁺] = -log(1.34 × 10⁻³) ≈ 2.87

 

정답: (3) 2.87

 

 

오답 포인트

1. 강산처럼 완전 이온화 가정: 약산을 강산처럼 생각하여 pH = -log(산 농도)로 바로 계산하는 오류를 범합니다. 약산은 일부만 이온화되므로 평형을 고려해야 합니다.

 

2. 근사 조건 잘못 적용: Ka 값이 크거나 산의 농도가 매우 낮은 경우 근사 조건(초기 농도 - x ≈ 초기 농도)을 적용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무조건 적용하여 오답을 선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초기 농도가 Ka 값의 100배 이상일 때 근사가 가능합니다.

 

3. Ka 값 활용법 이해 부족: Ka 값이 작을수록 산의 이온화도가 낮고 약산이라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Ka 값을 pH 계산에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Ka 값은 평형 상수이며, 약산의 이온화 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4. pH 계산 실수: [H⁺] 농도를 구한 후 pH = -log[H⁺] 공식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로그 계산 실수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3. 완충 용액의 pH 계산, Henderson-Hasselbalch 식 활용 미숙!

 

완충 용액의 pH를 계산하는 문제는 약산과 그 짝염기 또는 약염기와 그 짝산의 농도를 이용하여 Henderson-Hasselbalch 식을 적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공식을 잘못 사용하거나, 짝산/짝염기를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여 오답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 3

0.20 M 아세트산(CH₃COOH)과 0.10 M 아세트산나트륨(CH₃COONa) 혼합 용액의 pH를 계산하시오. (단, 아세트산의 Ka = 1.8 × 10⁻⁵이다.)

 

(1) 3.74 (2) 4.44 (3) 4.74 (4) 5.04 (5) 5.34

 

 

해설

 

완충 용액의 pH는 Henderson-Hasselbalch 식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pH = pKa + log([짝염기] / [약산])

 

pKa 값 계산:

 

pKa = -log(Ka) = -log(1.8 × 10⁻⁵) ≈ 4.74

 

[약산] 및 [짝염기] 농도 확인:

 

[약산] = [CH₃COOH] = 0.20 M

[짝염기] = [CH₃COO⁻] (아세트산나트륨에서 완전히 이온화되므로 [CH₃COONa]와 같음) = 0.10 M

 

Henderson-Hasselbalch 식 적용:

 

pH = 4.74 + log(0.10 / 0.20) = 4.74 + log(0.5) = 4.74 + (-0.30) = 4.44

 

pH = pKa + log([짝염기] / [약산])

 

pKa 값 계산:

 

pKa = -log(Ka) = -log(1.8 × 10⁻⁵) ≈ 4.74

 

[약산] 및 [짝염기] 농도 확인:

 

[약산] = [CH₃COOH] = 0.20 M

[짝염기] = [CH₃COO⁻] (아세트산나트륨에서 완전히 이온화되므로 [CH₃COONa]와 같음) = 0.10 M

 

Henderson-Hasselbalch 식 적용:

 

pH = 4.74 + log(0.10 / 0.20) = 4.74 + log(0.5) = 4.74 + (-0.301) ≈ 4.44

 

정답: (2) 4.44

 

 

오답 포인트

1. Henderson-Hasselbalch 식 잘못 사용: pH = pKa - log([짝염기] / [약산]) 또는 pH = pKa + log([약산] / [짝염기]) 와 같이 공식을 잘못 암기하거나, 약산과 짝염기의 농도를 반대로 대입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2. 짝산-짝염기 구분 오류: 완충 용액을 이루는 약산과 그 짝염기, 또는 약염기와 그 짝산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여 공식을 적용할 때 농도를 잘못 대입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세트산(약산)의 짝염기는 아세트산 이온(CH₃COO⁻)입니다.

 

3. pKa 계산 실수: Ka 값을 이용하여 pKa = -log(Ka)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로그 계산 실수를 하거나, Ka 값에 음수를 붙이지 않는 오류를 범합니다.

 

4. 강산/강염기 완충 용액에 공식 적용: 강산과 그 염, 또는 강염기와 그 염으로 이루어진 용액은 완충 용액이 아니므로 Henderson-Hasselbalch 식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완충 용액은 반드시 약산과 그 짝염기, 또는 약염기와 그 짝산의 혼합 용액이어야 합니다.

 

4. 학습 조언

 

오늘 우리는 학생들이 산과 염기 문제에서 가장 어려워하고, 오답률이 높은 3가지 대표 유형을 집중 분석하고, 오답 함정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파헤쳐 보았습니다. 이제 여러분은 산과 염기 문제에 대한 확실한 이해와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추게 되었으리라 믿습니다!

 

  • 산과 염기의 정의 및 성질 명확히 이해: 아레니우스, 브뢴스테드-로우리, 루이스 정의를 포함하여 산과 염기의 다양한 정의를 이해하고, 강산/약산, 강염기/약염기의 차이점을 명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 pH와 pOH 개념 완벽 숙지: pH = -log [H⁺], pOH = -log [OH⁻], pH + pOH = 14 (25℃ 기준) 공식을 암기하고, 수소 이온 농도와 수산화 이온 농도 사이의 관계를 이해해야 합니다.
  • 평형 상수 Ka와 Kb 활용법 익히기: 약산의 이온화 상수 Ka와 약염기의 이온화 상수 Kb의 의미를 이해하고, pH 계산에 활용하는 방법을 숙달해야 합니다.
  • 완충 용액의 원리 및 pH 계산 연습: 완충 용액이 pH 변화에 저항하는 원리를 이해하고, Henderson-Hasselbalch 식을 이용하여 완충 용액의 pH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연습을 꾸준히 해야 합니다.
  • 다양한 유형 문제 풀이 및 오답 노트 활용: 다양한 난이도의 산과 염기 문제를 풀어보면서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고, 오답 노트를 통해 틀린 부분을 꼼꼼히 복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산과 염기는 화학의 핵심이며, 우리 삶과 밀접하게 관련된 중요한 개념입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꾸준히 학습하고 연습하여 산과 염기 문제 풀이 Master가 되어, 화학 실력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기를 응원합니다!



home top bott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