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의 기본, 뉴턴 제3법칙, 즉 작용-반작용 법칙은 "힘은 항상 쌍으로 작용하며, 작용력과 반작용력은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이다"라는 간결한 문장으로 표현됩니다. 언뜻 보면 매우 단순하고 명확해 보이지만, 실제 문제 상황에 적용하려고 하면 다양한 오개념과 혼란이 발생합니다. 오답의 주요 원인은 작용력과 반작용력을 '평형' 상태의 힘으로 착각하거나, 작용점과 힘의 주체를 혼동하거나, 반작용력의 크기에 대한 잘못된 선입견을 갖는 등, 핵심 개념에 대한 피상적인 이해에서 비롯됩니다. 단순 암기만으로는 뉴턴 제3법칙을 제대로 이해하고 문제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의미입니다.
뉴턴 제3법칙 작용-반작용 법칙 문제풀이와 오답 포인트
▼ 뉴턴 제3법칙 개념 정리가 필요하신가요? ▼
뉴턴의 제3법칙: 작용-반작용 법칙의 정의와 실생활 예제
뉴턴의 제3법칙(작용-반작용 법칙)은 물체가 서로 힘을 주고받는 상호작용의 본질을 설명하는 법칙입니다. 이는 우리가 주변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는 현상으로, 모든 힘은 항상 쌍으로 존재한
science-gallery-park.tistory.com
개념 정리가 되셨다면 본격적으로 문제풀이 고고싱~
문제 1: 벽 밀기 vs 벽이 미는 힘
문제
철수가 벽을 50N의 힘으로 밀고 있습니다. 이때, 벽이 철수를 미는 힘의 크기와 방향은 각각 어떻게 될까요? 또한, 작용점과 힘의 주체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설명해보세요.
해설
뉴턴 제3법칙, 작용-반작용 법칙에 따르면, 힘은 항상 쌍으로 작용하며 작용력과 반작용력은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입니다.
철수가 벽을 50N의 힘으로 미는 것은 작용력에 해당하며, 이에 대한 반작용력은 벽이 철수를 미는 힘입니다.
- 작용력: 철수가 벽에 작용하는 힘 (크기: 50N, 방향: 벽 방향, 작용점: 벽)
- 반작용력: 벽이 철수에 작용하는 힘 (크기: 50N, 방향: 철수 방향, 작용점: 철수)
- 핵심: 작용력과 반작용력은 항상 두 물체 사이에서 쌍으로 나타나며,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입니다. 힘의 주체와 작용점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답
- 크기: 50N
- 방향: 철수가 벽을 미는 힘의 반대 방향 (철수 방향)
오답 유형 1: 작용력과 반작용력은 '평형' 관계이다? NO!
오답: 작용력과 반작용력은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이므로, 두 힘은 서로 '평형'을 이룬다. 따라서 물체는 항상 정지하거나 등속도 운동을 한다.
진실: 작용력과 반작용력은 절대 '평형' 관계가 아닙니다! 평형 관계의 두 힘은 반드시 '하나의 물체'에 작용해야 하지만, 작용력과 반작용력은 '서로 다른 두 물체'에 각각 작용합니다.
- 평형 관계 힘: 하나의 물체에 작용하며, 물체의 운동 상태 변화 X (합력 = 0)
- 작용-반작용 힘: 서로 다른 두 물체에 각각 작용하며, 각 물체의 운동 상태 변화 O (합력 ≠ 0)
- 핵심: 작용력은 물체 A가 물체 B에 작용하는 힘이고, 반작용력은 물체 B가 물체 A에 작용하는 힘입니다. 작용점 자체가 서로 다른 물체에 있기 때문에, 평형 관계를 논할 수 없습니다. 평형과 작용-반작용, 명확하게 구분하세요!
문제 2: 로켓 발사 원리
문제
로켓은 어떻게 하늘 높이 날아오를 수 있을까요? 뉴턴 제3법칙, 작용-반작용 법칙을 이용하여 로켓 발사 원리를 설명해보세요.
정답 및 해설
로켓 발사의 핵심 원리 역시 뉴턴 제3법칙, 작용-반작용 법칙으로 설명됩니다. 로켓은 연료를 연소시켜 고온, 고압의 가스를 아래 방향으로 분출합니다. 이때, 로켓이 가스를 아래로 미는 힘이 바로 작용력입니다.
작용-반작용 법칙에 따라, 가스가 로켓을 미는 힘, 즉 위쪽 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힘을 작용합니다. 이 힘이 바로 반작용력 (추진력)이며, 이 추진력 덕분에 로켓은 하늘로 힘차게 날아오를 수 있습니다.
- 작용력: 로켓이 가스를 아래로 미는 힘 (방향: 아래 방향, 작용점: 가스)
- 반작용력: 가스가 로켓을 위로 미는 힘 (추진력) (방향: 위 방향, 작용점: 로켓)
- 핵심: 로켓은 스스로 힘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작용-반작용 법칙을 이용하여 가스를 밀어내는 작용력을 통해 추진력이라는 반작용력을 얻어 하늘로 날아오르는 것입니다.
오답 유형 2: 작용점 혼동! 작용-반작용 힘은 항상 '같은 물체'에 작용한다? NO!
오답: 작용-반작용 힘은 항상 '같은 물체'에 작용한다. 예를 들어, 지구가 사과를 당기는 힘 (중력)과 사과가 지구를 당기는 힘 (반작용력)은 모두 사과에 작용한다.
진실: 작용-반작용 힘은 반드시 '서로 다른 물체'에 각각 작용합니다! 지구가 사과를 당기는 힘 (중력)은 사과에 작용하지만, 반작용력인 사과가 지구를 당기는 힘은 지구에 작용합니다.
- 작용력: 지구가 사과를 당기는 힘 (중력) (작용점: 사과)
- 반작용력: 사과가 지구를 당기는 힘 (만유인력) (작용점: 지구)
- 핵심: 작용-반작용 힘은 힘의 '주체'와 '객체'가 서로 바뀌는 관계입니다. 힘의 주체와 작용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힘이 작용하는 '물체'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작용점, 꼼꼼하게 확인하세요!
문제 3: 마찰력과 작용-반작용, 운동 방향과 힘의 관계 심층 분석
문제
수평면 위에 놓인 나무 상자를 5N의 힘으로 오른쪽으로 끌었더니, 상자가 등속도 운동을 합니다. 이때, 마찰력의 크기와 방향은 각각 어떻게 될까요? 또한, 작용-반작용 관계를 고려하여 설명해보세요.
해설
상자가 등속도 운동을 한다는 것은 알짜힘이 0이라는 의미입니다. 즉, 상자에 작용하는 모든 힘의 합력이 0이라는 것입니다. 상자를 오른쪽으로 끄는 힘 (5N) 외에, 운동 방향을 방해하는 마찰력이 작용해야 알짜힘이 0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마찰력은 끄는 힘과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인 5N, 왼쪽 방향으로 작용해야 합니다. 마찰력 역시 작용-반작용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 작용력: 상자가 바닥을 누르는 힘 (수직항력) (방향: 아래 방향, 작용점: 바닥)
- 반작용력: 바닥이 상자를 떠받치는 힘 (수직항력) (방향: 위 방향, 작용점: 상자)
하지만, 마찰력 자체는 작용-반작용 쌍이 아닙니다. 마찰력은 상자와 바닥 사이의 접촉면에서 운동을 방해하는 힘으로, 작용점은 상자와 바닥의 접촉면입니다. 마찰력의 반작용력은 복잡하게 얽혀있으며, 일반적으로 문제 풀이에서 직접적으로 고려하지 않습니다.
- 핵심: 마찰력은 운동을 방해하는 힘이지만, 작용-반작용 법칙과 무관한 것은 아닙니다. 수직항력과 같이 작용-반작용 쌍을 이루는 힘과 연관되어 발생하며, 운동 분석 시 힘의 평형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답
- 마찰력의 크기: 5N
- 마찰력의 방향: 운동 방향의 반대 방향 (왼쪽 방향)
오답 유형 3: 힘의 크기 오해! 반작용력은 항상 작용력보다 작다? NO!
오답: 작용력이 크면 반작용력은 작고, 작용력이 작으면 반작용력은 크다. 반작용력은 항상 작용력보다 작거나 같을 것이다.
진실: 작용-반작용 법칙은 힘의 '크기'는 항상 '같다'라고 명확하게 규정합니다. 작용력과 반작용력은 크기가 항상 동일하며, 크기 관계에 대한 오해는 금물입니다. 힘의 평형과 혼동하여 크기에 대한 오답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작용력 크기 = 반작용력 크기 (항상 성립)
- 핵심: 작용-반작용 법칙에서 힘의 크기는 '절대적'으로 같습니다. 힘의 크기에 대한 선입견을 버리고, 작용-반작용력은 항상 크기가 같다는 점을 명심하세요! 크기, 언제나 같습니다!
